본문 바로가기

Auto

현대자동차 i40 왜건 엄청난 트렁크 용량 - 자전거를 싣다. Hyundai i40

반응형

속칭 현기차라 불리는 현대/기아차 탄탄한 차체와 핸들링, 안정성, 연비를 뽐내는 여느 수입차를 경험해 보았다면 현기차라는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현기차도 차를 잘 만들 수 있음은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원가의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한 대중차를 만들다 보니 쿠킹호일 같은 주방용품을 차체로 쓰는 웃픈 현실이 발생했을 뿐. 그런데 현기차에도 탈 현기차가 존재한다. 바로 i30, i40 같은 i시리즈의 디자인 완성도는 현기차 뿐만 아니라 수입 자동차 브랜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 왜 현기차는 이렇게 잘 만들 수 있음에도 신형 제네시스, 신형 쏘나타와 같은 어설픈 카피캣을 만들어 내는 것일까? 너무 안타깝고 불행해지는 느낌이 든다. 요즘 차체 강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터라 현기차도 차체 강성을 높였다고 하지만, 신형 제네시스의 디자인은 현대만의 아이덴티티도 없고 구형 제네시스 보다 완성도가 떨어지는 느낌이다. 다시 본론인 i40로 돌아와서 왜 자동차는 그 태생이 유럽이어야만 하는가를 보여주는 참 좋은 예가 바로 i40이다. 유럽인 들의 감성과 라이프스타일, 까다로운 구매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자동차 보다는 훨씬 만족스러워야 한다. 그래서 i30, i40가 태어날 수 있었다. 국내에서는 동급 차종에서 다소 높은 가격대 때문인지 많은 선택을 받고 있지는 못하지만 i40는 여전히 실증나지 않는 현대자동차의 수작이다.

일단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높지 않은 생소한 카테고리 i40 왜건... 우리나라에선 아직도 정통 세단이 가장 흔한 형태의 '자가용'이다.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 되는 것이 아직까지 국산차 중에서는 왜건다운 왜건이 없었다.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만한 충분한 동기가 없었다고 해야 한다. 세단 형태의 원형 모델에 어정쩡하게 트렁크 라인을 높여서 만든 못난이 왜건들은 모두 실패했다. 그런데 i40는 원형이 왜건이다. 그래서 전체적인 라인이 군더더기 없이 매끄럽게 트렁크까지 이어진다. i40는 왜건 모델을 뜻하고 그 파생형 모델인 세단형이 'i40 살룬'이다. 웃프게도 국내의 정서를 감안해서 i40살룬이 나왔다. 그럼 그냥 소나타 or 그렌저 사세요~! 이 멋진 왜건 모델을 놔두고 왜 굳이 살룬을 택하시는지... 


i40 디자인에도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니 딱 한 가지 불만이 있을 뿐이다. 해드램프 라인이 너무 길게 빠졌다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플루이딕 스컬프처 좋은데 조금만 자제해 줬으면 좋겠다. 그래도 국산차 중에서는 가장 마음에 드는 디자인 완성도~!


이렇게 아이 자전거를 불편함 없이 실을 수 있다. 세단에서는 엄두도 못낼 일. 그런데 뭐 애들 자전거 하나 싣는게 대단하냐고 하지만 어른 자전거도 실을 수 있다. 뒷좌석을 모두 폴딩하면 자전거가 들어간다. 자전거가 아니라 오토바이도 들어갈 것 같다. 유럽 사람들의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이 왜건을 좋아하게 만든 이유도 있다. 모든 길이 국경을 넘나들고 여름 휴가도 한달씩 누리니 자동차를 이용해서 몇주씩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는 반도 국가라서 3면이 바다라는 것은 좋지만 어쩌면 자동차로 떠나는 거리는 한계가 있는 '섬나라'같은 곳이다. 북쪽으로 길도 나고 일본으로 해저터널도 뚤리면 라이프 스타일이 좀 바뀔려나... 어쨋든 지금도 난 왜건이 좋다. 다음번 모델은 CLS슈팅브레이크를 꿈꾼다.

반응형